2009. 7. 3. 16:21ㆍ대한민국 가문 탐구
2009년 6월27일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의1번지 소재 동구릉(사적 193호)의 건원릉(健元陵)에서 기신친향례(忌辰親享禮)가 거행 되었다,
건원릉은 조선왕조 창업자이신 태조고황제(이성계.1355~1408)의 능이다,
매년 6월27일에 거행되는 기신친향례(忌辰親享禮)란 역대제왕과 왕후에 대한 의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조선시대의 국가의식의 규정인 오례의(五禮儀) 중의 길례(吉禮)에 해당된다,
왕과 왕비가 승하한 후에는 사계절과 납일(臘日.그믐)속절(俗節.명절이나 절기일)에 왕이 거가출궁(車駕出宮)하거나 왕세자가 친행하여 제례를 행하였고,
담제(譚祭.상복을 벗고 평상복으로 환원하는 제사)후에는 경복궁 문소전(文昭殿)에서 승하한 기일(忌日)에 기신제를 지냈으나 문소전이 임진왜란때 소실된 이후로는 산릉에서 기신제 까지 지내게 되었다가 인조14년(1636)오향대제(五享大祭.정월 초하루.한식.단오.추석.동지)를 혁파하고 한식날에만 제사 지내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각 능에서 기신제로 봉행한다,
[제례절차]
제 관 (祭官) = 예조에서 제관을 선정한다,
제 계 (齋戒) = 제례를 행하기 전에 임금과 신하가 몸과 마음을 정결히 한다,
출 궁 (出宮) = 임금의 행렬이 궁궐을 나서서 산릉에 도착하는 행차
제수진설(祭需陳設) = 제례의식 전에 전사관(典祀官)과 능사(陵司)가 제수를 진설하는 의식,
예능소(詣陵所) = 임금이 제례를 행하기 위해 소여를 타고 홀살문 앞에 도착한다,
예판위(詣版位) = 임금이 정자각의 판위(版位)에 서쪽을 향한다,
참 신 (參神) = 신을 맞이하기 위하여 모든 제관이 네번 절한다,
관세취이(盥洗就位) = 제관이 손을 씻고 정해진 위치에 나아간다,
감 작 (監爵) = 임금이 제주를 따르는 것을 살펴본다,
삼상향(三上香) = 신을 모시기 위하여 향을 세번 피운다,
초헌례(初獻禮) = 초헌관(임금)이 첫째잔을 신위전에 올리고 대축(大祝)이 낭독한다,
독 축 (讀祝) = 축문을 읽는다,
아헌례(亞獻禮) = 아헌관(영의정)이 둘째잔을 신위전에 례
종헌례(終獻禮) = 종헌관(좌의정)이 셋째잔을 신위전에 례
사 신 (辭神) = 신을 보내기 위하여 네번 절한다,
망 료 (望燎) = 제례에 쓰인 축문을 태우는 례
환 궁 (還宮) = 임금의 행렬이 다시 궁궐로 돌아가는 행차
철 찬 (撤饌) = 전사관과 제관들이 제찬을 거둔다,
제향이 거행 되기전 본원의 종현들께서 무더운 날씨에 수고가 많아 보인다,
제관 봉무자
행사요원들이 준비관계로 분주해 보인다,
수령방백들....
홍살문앞에 제관행렬이 당도한다,
취타대들이 풍악을 울리며 행진한다,
취타대는 안산 정보고 학생들이다,
옛것임에도 불구하고 참 잘하느만...
어가가 들어오는 모양이다,
노부꾼들이 들어오고....
삼정승 육판서 행렬도 보이고...
상감마마께 아뢰오오~ 궁중내시들.....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이사장,가운데 명아리 걸치고 전통의상에 나까오리 쓰신분,
제향이 시작되고....
임금이 초헌례를 올리기 위해 침전으로 향하고....
삼정승 육판서가 도열하고....
집례의 홀기낭독이 은은하게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많은 참반원 모두 엄숙하고 경건한 제향이 거행되고 있다,
제향이 거행되고 있는 홍살문 안의 침전,
초헌례순에 따라 독축부복
독축시의 참반원 부복
'대한민국 가문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창녕성씨 고가 (0) | 2009.07.04 |
---|---|
[스크랩] 창녕성씨 시조 묘 (0) | 2009.07.04 |
[스크랩] 조선왕릉엔 ‘다빈치코드’ 뺨치는 ‘컬처코드’가… (0) | 2009.07.03 |
[스크랩]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전북지원 지원장 이취임식 (0) | 2009.07.03 |
[스크랩] Re:파평윤씨 시조 탄강지 용연 정화공사 준공 이모 저모 [사진.동영상] (0) | 200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