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4. 3. 07:29ㆍ첨수도 화폐문 연구
1. 옛날 고조선 상형 화폐문
첨수도 위의 문자도 "civil" 님께서 잘 정리해두었습니다.
만약 이 문자가 진본이라면-사진으로 보니 진본일 듯 합니다-
정말 놀라워서 입이 다물어 지지 않습니다.
이전에
제가 주장한 내용이 거의 담겨있습니다.
1) 한자의 필법이 직선적인 필법을 가지게 된것은 고조선부여
문자의 영향이라 했는데,
이 첨수도 위의 화폐문은 이를 증명합니다.
2) 갑골문과 또 다른 고조선식 상형문자 체계-한글알파벳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는 상형자로 봅니다-가 있었습니다.
먼저
이 첨수도 위의 문자를 화폐문(貨幣文)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물론 고조선 화폐문입니다.
1) 이 문자는 고조선식 해 日 상형 화폐문일 것입니다.
혹은 "거북이 龜" 를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군요.
2) 행(行)으로 갑골문에도 보이는데,
이미 동시대에 고조선에도 사용된 동일 문자로 보입니다.
3) 문(文)으로 봅니다.
고대 한글 정월대보름달 에 들어 있는 한자로서
연 모양을 나타내며, 연 안에 문자를 적는다 해서
고대 文 으로 이미 해석한 글자입니다.
4) 上 으로 봅니다.
현 한자가
윗 上 으로 만들어진 원인이 고조선 상형 화폐문의 영향이라 봅니다.
上 下 土 干 王 中 , 칼, 用, 大 와 숫자 1-10 (civil 님 의견에 1,2,3,5,6,7,8,9 동의),
또 고대 한글알파벳 순서인 듯한 규칙문자들......
이전에 공부한
천간지지의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가 다 들어 있군요.
十 은 甲, S 는 乙, ㅇ과 ㅁ 은 丁, ㄹ 은 己, 영어 工 는 壬, X 는 癸
아래 문자 출처: "civil" 님의 공개 자료 중에서
'첨수도 화폐문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첨수도 화폐문 : 5, 오(五) (0) | 2009.04.06 |
---|---|
5 . 첨수도 화폐문: 금(金) (0) | 2009.04.05 |
4. 첨수도 화폐문: 중(中) (0) | 2009.04.05 |
3. 첨수도 화폐문: 종(終) (0) | 2009.04.05 |
2. 거의 확실한 韓 (0) | 2009.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