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한글로 행(行)을 살핍니다.
2009. 1. 23. 22:47ㆍ명도전 문자 연구
고대 한글로 행(行)을 살핍니다.
언듯 보면
한자 行 인 듯 합니다만,
꼼꼼이 들여다 보면 법칙이 적용됩니다.
브라미의 마지막 모음 [아우, au] 는 "二 ㅡ" 이
원자음 위에 올라갑니다.
그래서
도표와 같은 소리 문자가 됩니다.
비슷 비슷한 行 모양이었지만,
왜 다른 모양인가 아시겠지요.
누구도 쉽게 생각할 수 없는 고대한글의 비밀이지요.
왜 중국 학자들이
명도전 위의 문자를 해독할 수 없었는가 아시겠지요.
이제
부여에 서산(글과 산수)이 있었다 믿어시겠지요.
'명도전 문자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한국한자음: 타락(駝酪-낙타 우유) (0) | 2009.01.23 |
---|---|
고대 한글과 한국어: 길 도(道) (0) | 2009.01.23 |
४이젠 확실한 ㅁ 이고, 말이겠지요. (0) | 2009.01.23 |
ㅏ 와 ㅓ 해독: 고대 한글브라미로 ㅣ 은 [ㄹ, r] 발음 (0) | 2009.01.23 |
고대한글과 한국어: 네 와 뤈 run (0) | 200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