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8. 24. 21:57ㆍ세계정음 수필.
티벳 첨족자는 훈민정음(한글)의 종성 받침 붙이기와 같은 원리.
티벳문자를 구성할 때에 4개의 첨족자(添足字)를 사용합니다.
1) ya 족 2) ra족 3) la 족 4) wa족 입니다.
이 중 3) la 족을 쓸 수 있는 6자가 있는데, 한글 만들기와 얼마나 닮았는지 보십시오.
ཀ་ ག་ བ་ ཟ་ ར་ ས་
ལ ཀླ་ གླ་ བླ་ ཟླ་ རླ་ སླ་
언 듯 보면 한글과 달라 보입니다.
그런데 위 문자는 한글 ㄲ, ㄱ(머),ㅁ , ㅌ 돌린 것, ㄴ(혹은 영어 I) , ㅅ(혹은 영어 N)
에다가 아래 ㄹ 을 돌린 종성 받침을 붙인 것입니다.
특히 བླ་는 우리 한글 ㅁ 에 아래 아인 점(.) , 받침으로 ㄹ 돌린 것을 적은 것입니다.
사진으로 아래 아 한글 문자를 살펴봅시다.
4) wa 족도 마찬가지입니다. 16자가 있는데 편의상 닮은 7 개만 해봅시다.
ཀ་ ཁ་ ག་ ད་ ཟ་ ར་ ས་
ྭ ཀྭ་ ཁྭ་ གྭ་ དྭ་ ཟྭ་ རྭ་ སྭ་
이 첨족자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삼각형 △ 을 돌려놓은 것이지요. 사진 속 훈민정음 시대의 한글과
티벳 문자가 얼마나 닮았는지 보십시오.
티벳 첨족자 ལ과 티벳삼각형 둘 다 오른쪽으로 돌리면, 한글 받침이 된다는 것입니다.
1)번 ya 족의 모양은 우리 한글의 ㄴ 혹은 ㄷ 을 부드럽게 한 모양이라 볼 수도 있습니다.
한글문서에서 티벳문자 다 찾았는데, 이 ya족 모양만 안 보이는군요.
아래 사진 속 티벳 첨족자는 한글 ㄴ 이나 ㄷ 붓글씨체 같지요.
2)번 ra족의 모양은 제가 한글의 모음 천지인 중에 지(ㅡ)라고 처음에는 생각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받침 자음이라 생각하고 무심히 넘어갔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제 보니 우리 한글은 모음이지만, 쓰는 방식은 같습니다.
14개가 있는데, 몇 개만 보여드립니다.
ད྄་ ཕ྄་ བ྄་ ས྄་
드 브 므 스
티벳한글(* 저는 티벳문자를 주로 티벳한글이라 부릅니다.)의 첨족자에 사용되는
문자는 모든 문자에서 숫자적으로 제한이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완전히 같은 원리는 아니지만, 우리 훈민정음에서의 8자 종성 제한도
티벳한글의 숫자제한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 훈민정음에서 한글 종성 만들기는 티벳문자 첨족자 만들기와 동일한 원리이다.
원래 첨족(添足)이란 한자의 뜻은 “첨가한다--> 무엇을 : 문자의 다리를” 입니다.
다리는 신체의 받침이니, 우리말 받침이란 말과 동일어이지요. 즉 티벳첨족자를 풀어쓰면 티벳한글 받침쓰기가 되지요.
참고도서: 티베트어의 기초와 실천,허일범 편저,민족사
'세계정음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축하 양산시 공무원 정보화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0) | 2007.08.27 |
---|---|
중외제약 전 임직원 학력 검증. (0) | 2007.08.27 |
서울시 공무원 토익점수 170-->770점 위조 (0) | 2007.08.23 |
동국대,단국대 전교직원 학력 검증 (0) | 2007.08.22 |
티베트,영어 불경을 찾다. (0) | 200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