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첫말
불법다/불붑다=부럽다(전남 방언), 불베허다=부러워하다 (전남 방언), 불봐허다=부러워하다 (전남 방언)
대사부대두목
2022. 7. 17. 07:35
불법다/불붑다=부럽다(전남 방언), 불베허다=부러워하다 (전남 방언), 불봐허다=부러워하다 (전남 방언)
‘부러워하다’의 옛말은 ‘블다/브러ᄒᆞ다/블워ᄒᆞ다’입니다. 전남 방언인 ‘블봐허다/ᄇᆕᆯ베허다’ 다음에 ‘블워ᄒᆞ다’가 나오게 됩니다. 줄여 ‘블다’이니 ‘븗/븛’이 첫 원어입니다. 늘어지니 ‘블븝/블ᄇᆡᇂ/블ᄇᆡᆷ’이 되는데, 두 번째 종성이 탈락 된 후 ‘불봐허다/불베허다’이고, 늘어지니 ‘부러붜하다’--->‘부러워하다’가 됩니다. 그런 후 확인하러 ‘부럽다’를 검색합니다. 정확히 옛말로 ‘븗다’가 나오고, 늘어지면 ‘강원/경북/함경’의 ‘불부다’가 나오고, ‘제주방언’의 ‘불룹다’가 나옵니다. 한자어는 ‘선망(羨望)하다’이니 ‘븗다’의 초성 ㅂ은 합용 병서 ㅄ임을 알 수 있고, 늘어진 ‘불법/불봫/불봠’ 상태에서 ‘선망’이 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우리말 초성 ㅂ과 한자어 초성 ㅅ 사이를 분리로 안보고 선후 관계라고 본다면 우리말 ‘불봠/불봫’에서 그대로 ‘선망(羨望)’되는 것입니다. 과장하자면 우리 전남 방언 ‘불봐허다’ 그대로 ‘선망하다’인 것입니다. 영어 단어와 대조하면 ‘불’의 ㅂ이 ㅇ 되어 ‘en-’, ‘봫’ 부분이 –vy 가 되어 envy입니다.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충남 방언 ‘불겁다’를 참조해서 고어 초성을 추정하자면 ‘ㅂ-ㅲ’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