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항=수렁
술항=수렁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95d6d0c03bf4496a81610b7bfbcc66a
‘수위다’에서 검토한 단어입니다. ‘술항’은 ‘숣’에서 나오는데, ‘술방’에서 ‘술ᄫᅡᆼ’되고 ‘술항’ --->‘술앙’--->‘수렁’ 됩니다. ‘빠지다’의 ㅳ 이 ㅇㄷ 되면 ‘웅덩이’가 되고,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a1deee7913f4e7fa94b703512d6a44e
ㅂ 의 ㅎ 은 제주방언 ‘흐렁’으로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구멍의 옛말은 ‘구무/구ᇚ/구메’입니다. 받침은 ㅁㄱ 이니 원래는 ㄼㄱ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구븍’-->‘구ᄫᅳᆨ’-->‘구흑/구믁’--->‘구무/구메’-->‘구멍’이 됩니다. ‘구멍에 구멍다’하지 않습니다. ‘구멍에 빠지다’이니, ㅂ 은 ‘빠지다’, ㅅ 은 ‘수렁’, ㄱ 은 ‘구참고로 구멍의 옛말은 ‘구무/구ᇚ/구메’입니다. 받침은 ㅁㄱ 이니 원래는 ㄼㄱ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구븍’-->‘구ᄫᅳᆨ’-->‘구흑/구믁’--->‘구무/구메’-->‘구멍’이 됩니다. ‘구멍에 구멍다’하지 않습니다. ‘구멍에 빠지다’이니, ㅂ 은 ‘빠지다’, ㅅ 은 ‘수렁’, ㄱ 은 ‘구멍’이 되는 것입니다. ‘빠지다’의 ㅂ 은 ㅎ 되어 ‘함(陷)’이 됩니다. 한자어는 ㅲ에서 ㅎㄱ 의 ‘혈규(穴竅)’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도 ㅎ 되어 hole 이고, ㅍ 되어 pit 되고, 동사로는 f 되어 fall 이 됩니다.
복습)
명사형 ‘수렁’의 영단어는 ㅂ의 bog, ㅁ되어 mire, morass, ㅍ의 pit 가 되고 ㅅ은 동사형의 sink, get stuck 이 됩니다. 즉 우리 옛말 ‘수위다’가 바로 영어 sink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