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매=맷돌
2021. 10. 25. 15:59ㆍ우리 옛말 공부
경북 방언
불매=맷돌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4af6d2b0dbc4398b9e7fcdf9a6a734a
ㅲ에서 ㄱ 은 ‘갈다’입니다. ‘맷돌’이란 ‘갈고 문지르는 돌’이란 것이고, ㅁ의 ‘매’가 나오기 전 ‘불’이란 우리말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ㅲ 은 이른 시기에 갈라진 연유로 ㅂ은 ㅁ 되어 ‘맷돌’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자어로 ‘갈 마(磨)’가 나오게 되는 것이고, ‘돌’은 ㅼ 이니 ‘석(石)’이 됩니다.
그래서 ‘마석(磨石)’이란 표현이 나오는데, 우리말 ‘불매/맷돌’에서 나온 표현일 뿐입니다. ㅅ은 경북 방언에 ‘숫돌’로 나타납니다. 충남 방언에 ‘독매’는 ‘갈다’의 ㄱ의 ㄷ입니다.
한자어로 ‘년애/연애(碾磑)’라고 하는 것은 우리말 ‘갈다’ 의 ㅂㄱ 의 ㅂ의 ㅇ 과 ㄱ 의 ㄴ 일뿐입니다. 영어는 millstone 인데, mill 은 ‘방앗간’ 혹은 ‘갈다/으깨다’ 라는 뜻이니, 우리말 ‘맷돌’의 ‘매’ 그대로인 것입니다. 다른 단어 quern 은 ‘갈다’의 ㄱ에서 나온 ㅋ입니다. 그래서 ‘불’의 다른 표현이 ‘부수다’ ‘빻다’입니다.
그래서 곡식을 갈아 음식을 해 먹는 풍습과 도구도 고대 한국인이 제일 먼저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무치=풀무치 (0) | 2021.10.25 |
---|---|
불매불매=부라부라 (0) | 2021.10.25 |
불로=부러 (0) | 2021.10.25 |
의성어 의태어 연결 공부 정리 (0) | 2021.10.25 |
ㅴ/ㅵ에서 ㅄ 다음 ㅯ (0) | 2021.10.25 |